subvisual

박민신 교수



박민신 교수

전공분야(연구분야) : 미시 페다고지

- Data-driven instruction 
learners' interlanguage systems and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 Personaliz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ing grounded in learner agency

- Language-related topics in Global Korean Studies


연구실 : X 304

TEL : 02-705-4741

E-mail : parklioba@sogang.ac.kr




  1. 약력

   

  - 학력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박사(2018. 0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전공 석사(2008. 0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국어교육 학사(2006. 02.)


  - 경력

서강대학교 조교수 2024. 03. ~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조교수 2020. 09. ~ 2024. 02.


  2. 학술 활동

     

現 국어국문학회 연구이사/편집위원

現 국어교육학회 전공이사

現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K) 연구이사

現 이중언어학회 재무이사

現 한국문법교육학회 출판이사

現 한국문학언어학회, 세명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편집위원

現 한국어교육기관대표자협의회 섭외이사

現 한국어문화교육학회 기획이사

現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KLACES) 정보이사

前 국어교육학회, 배달말학회 편집위원

前 이중언어학회, 한국국어교육학회,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편집이사


  3. 연구 개발 과제

     

[책임]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을 위한 시나리오 콘텐츠 온톨로지 구축, LINC 3.0 산학기술공동개발과제(2024. 06. ~ 2025. 01., 교육부)

[공동] 외국인의 한국문화 접근성 향상을 위한 AI 기반 맞춤형 한글 교육 및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2024. 04. ~ 2025. 12., 한국콘텐츠진흥원)

[공동]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재개발(2024. 05. ~ 2024. 12., 세종학당재단)

[공동] KF 글로벌 e-스쿨 한국어교육 사업(2021. 03. ~ 2024. 02., 한국국제교류재단)

[공동] 2022년 동남아 국가 현지 한국어 교원 역량강화 방한 연수(2022. 08 ~ 2022. 12. 교육부/호치민시한국교육원)

[공동] 2022 재외동포 교육용 한국어 교재 수정·보완 사업(2022. 07. ~ 2023. 06., 국립국제교육원)

[책임] 2022 산학연 콜라보 R&D - AI 기반 차세대 한국어 진단평가 알고리즘 개발 및 학습 서비스 내 맞춤형 커리큘럼 구현(2022. 05. ~ 2022. 12.,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공동] 중국어 몽골어권 세종학당 통번역과정 교재 개발(2차)(2022. 04. ~ 2022. 12., 세종학당재단)

[공동] 21년 현지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지역별 시행(신남방)(2021. 08. ~ 2021. 12., 세종학당재단)

[공동] 21년 아프리카, 유럽 권역 온라인 세종학당 시범 운영 사업(2021. 08. ~ 2021. 12., 세종학당재단)

[공동] 해외 현지 초·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2020. 09. ~ 2021. 0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 재외한국학교 교육과정 개선 지원 및 컨설팅(3차년도)(2020. 05. ~ 2021. 01., 교육부)

[공동] 재외한국학교 교육과정 개선 지원 및 컨설팅(2차년도)(2019. 04. ~ 2020. 01., 교육부)

[공동] 재외한국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컨설팅(2018. 05. ~ 2019. 01., 교육부)

[공동] 한국어 기초문법 학습 콘텐츠 개발(2015. 06. ~ 2015. 09., 세종학당재단)

[공동] 멀티미디어 한국어 교육 자료 개발(세종한국어 7, 8권)(2014. 11. ~ 2014. 12., 국립국어원)


  4. 학술지 논문

     

박민신(2025), 한국어 예비 교사의 문법 수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새국어교육 143, 477-525.


김혜원, 박민신, 노해인, 권규리, 서용덕, 주세형(2025), 수준별 한국어 텍스트의 어휘적 특성 연구- 어휘 다양도, 밀도, 등급을 중심으로-, 언어와문화 21-1, 26-56.


박민신(2024), 생태학적 관점에 기반한 유튜브 한국어교육채널의 교육 환경 분석, 국어교육연구 54, 105-140.


박민신, 김호정, 강남욱, 신필여(2023), 유럽공통참조기준(CEFR) 텍스트 매개 영역 능력기술문의 구성 요소와 특성 분석, 국어국문학 205, 5-66.


박민신(2023), 한국어 예비 교사의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 개발 실행연구 : ‘한국어교수법’ 교과목의 개발 및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9-1, 367-391.


이려평, 박민신(2022),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명사형 전성어미 ‘-음’과 ‘-기’ 수업 개발 연구, 교양교육연구 16-5, 159-170.


박민신(2022), -기 때문에’ 문법 과제의 교수학적 분석, 어문론총 93, 41-73.


강남욱, 신필여, 김호정, 박민신(2022), CEFR에 기반한 ‘매개(mediation)’ 영역의 한국어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6-1, 163-202.


박민신(2022), 댓글을 활용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문화와융합 44-2, 57-84.


김호정, 강남욱, 신필여, 박민신(2021), 한국어교육에서의 ‘매개(mediation)’ 영역 설정의 필요성과 방향, 언어와문화 17-3, 51-87.


류은수, 박민신, 박진희, 김자영, 오현아(2020),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실제 –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84, 213-258.


박민신, 윤여탁(2019), 한국어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의 실태와 개선 방향 : 온라인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6, 329-349.


박민신(2019), 귀국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6-1, 131-156.


박민신(2019), 한국어 피동 표현의 교수학적 변환 양상 연구, 언어와 문화 15-1, 119-143.


박민신(2018),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체계화 양상 연구, 언어학 연구 49, 413-435.


오현아, 조진수, 박민신, 강효경, 박진희, 최선희(2018), 학령기 학습자의 문법 개념화 과정 기반의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한국어 문법 능력 진단·학습·평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론, 새국어교육 115, 31-80.


박민신(2017),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용례 작성의 원리 연구, 언어와 문화 13-3, 53-77.


박민신(2016), 연결어미 ‘-어서’의 다의성 연구, 한국어의미학 54, 1-31.


박민신(2016), 한국어 교재 대화문에 구현된 청자반응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화법연구 31, 1-20.


박민신(2014), 문장 생성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문장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 57, 49-74.


박민신(2013), 텍스트 응집성 중심의 한국어 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0-2, 71-98.


오현아, 박민신(2012), 일제 강점기 일본인 대상 조선어 교재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화학 9-1, 199-219.


박민신(2010), 교재 평가를 통한 고급 한국어 문법 교재의 개발 방향 연구, 선청어문 37-38, 333-368.


박민신(2008), 한국어 듣기 평가 텍스트의 진정성 연구 -대화형 텍스트의 상호작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1, 93-112.


  5. 저서

     

  - 학술서

민현식, 구본관, 김호정, 김수정, 성비락, 왕단, 박성일, 강남욱, 신필여, 이슬비, 박민신, 신범숙, 이지연, 임수진(2020),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 사회평론아카데미.


박민신, 노채환, 박지순, 박진철, 송소라, 박수진, 이혜원, 김미정, 김요섭, 신현우, 이지용(2022), 위기와 성찰의 뉴노멀시대, 보고사.


  - 한국어 교재

[공저] 해외 초·중등 한국어 한류 5(Korean Wave5 BTS), 교육부/국제한국어교육재단/HYBE Edu, 2024.

[공저]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 러시아어권 3, 국립국제교육원, 2023.

[공저]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 러시아어권 4, 국립국제교육원, 2023.

[공저] 세종통번역1 몽골어-한국어, 세종학당재단, 2022.

[공저] 세종통번역2 비즈니스 한국어-몽골어, 세종학당재단, 2022.

[공저] 성균 한국어 4-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하우, 2019.

[공저] 성균 한국어 4- 어휘, 문법, 하우, 2019.

[공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